[논문게재] 임종철 교수 연구실 한혜지 학생, 윤시원 학생이 함께 연구한 결과가 'Energies'지에 게재되었습니다. | |||||
작성자 | 관리자 | ||||
---|---|---|---|---|---|
조회수 | 62 | 등록일 | 2025.04.21 | ||
이메일 | |||||
- Vacuum Processability of Self-Assembled Monolayers and Their Chemical Interaction with Perovskite Interfaces - H. Han,§ S. Yun,§ Z. Irshard, W. Lee, J. Lim,* J. Kim* - Energies, 2025, 18(7), 1782 (IF: 3.0) - 2025.04.02, DOI: https://doi.org/10.3390/en18071782 본 논문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층과의 강한 화학적 상호 작용을 통해 계면 특성을 개선하는 진공 증착 Self-assembled monolayer (SAM)의 장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SAM은 효율적인 전하 수송 능력과 작동 기능 조정 가능성으로 인해 perovskite solar cell (PSC)의 계면 특성 조정 전략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용액 기반 SAM공정은, 균일하지 못한 layer 형성, 용매 오염, 분자 배향에 대한 제한된 제어와 같은 문제가 확장성과 재현성을 저해하고 있습니다. 반면 진공 증착 기술은 두께와 분자 배열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균일한 층을 형성할 수 있어 용액 공정의 한계들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이때 SAM과 페로브스카이트 층은 Pb2+ 이온과의 배위 결합을 통한 화학적 상호작용이 표면 결함을 부동태화하고 에너지 수준을 조절하며 균일한 페로브스카이트 결정화를 촉진합니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표면 습윤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페로브스카이트 필름의 전반적인 품질과 안정성을 개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