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역량(Exit outcomes) | ||
---|---|---|
3 핵심요소 | 8 영역 | |
의사 | 실력있는 의사 (A competent doctor) |
|
환자 | 환자에게 다가서는 의사 (An attentive doctor) |
|
사회 |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의사 (A socially responsible doctor) |
|
졸업역량 (Exit outcomes) |
1시기(Phase1)/의예과 1-2학년 | 2시기(Phase2)/의학과 1-2학년 | 3시기(Phase3)/의학과 3-4학년 | |||||||
---|---|---|---|---|---|---|---|---|---|---|
역량 (outcomes) |
평가 | 역량 (outcomes) |
평가 | 역량 (outcomes) |
평가 |
|||||
항목 | 영역 | 항목 | 영역 | 항목 | 영역 | |||||
1. 의학적 기본 지식의 임상 응용
|
인간과 의학을 탐구하기 위한 학문적 기초 다지기 | 기초의학종합평가(보고서) | 지식 | 임상표현의 병태생리 이해 및 개념틀 작성 | 기초의학종합평가(시험) Oral test |
지식 | 임상표현 개념틀의 확장과 응용 | 졸업시험, CPX/OSCE진료환자로그, 대면진료증례보고서 |
지식, 술기
|
|
2. 정확한 진단과 치료
|
과학적, 비판적 사고 | 과학적 사고와 추론 능력 평가 의학연구접근방법탐구 |
지식, 술기, 태도 | 병력청취 신체진찰, 기본 술기 수행 | CPX | 지식, 술기, 태도 | 감별진단과 치료 | 졸업시험, CPX/OSCE진료환자로그, 대면진료증례보고서 |
지식, 술기, 태도
|
|
3. 문제 해결 능력
|
합리적 추론 | 과학적 사고와 추론 능력 평가 의학연구접근방법탐구 (포트폴리오) |
지식, 태도 | 기본 진단 추론, 의학적 결정 | CPX, Oral test 포트폴리오 |
지식, 술기, 태도 | 진단 및 치료 과정의 문제해결 | 졸업시험, CPX/OSCE진료환자로그, 대면진료증례보고서, 포트폴리오 |
지식, 술기, 태도
|
|
4. 과학적 사고 및 연구 능력
|
과학적 근거 탐색 | 의학연구접근방법탐구 | 지식, 술기 | 임상 상황에 대한 과학적 의문 제기 | 학생연구계획서 | 지식, 술기 | 제기된 의문에 대한 연구 설계 | 학생연구보고서 |
지식, 술기
|
|
5. 의사 소통 능력
|
공감, 배려하는 마음, 표현능력 | 포트폴리오 봉사활동 |
태도 | 표준화 환자와 의사소통 | CPX | 술기, 태도 | 환자 및 동료와 의사소통 | CPX/OSCE진료환자로그 |
지식, 술기, 태도
|
|
6. 윤리적 행동
|
기본 철학 및 윤리 함양 | 독서감상문 | 태도 | 임상 상황에서의 윤리문제 발견 | CPX | 술기, 태도 | 환자 진료시 윤리적 행동 | CPX/OSCE진료환자로그 |
지식, 술기, 태도
|
|
7. 사회공동체적 책임감
|
동아리 활동 및 사회봉사 | 봉사활동 | 태도 | 협력학습 및 사회봉사 | 봉사활동 | 태도 | 질병 예방 및 보건의료환경 개선 활동 참여 | 봉사활동 |
태도
|
|
8. 자기계발 및 평생학습
|
자기성찰, 자기주도학습, 영어능력 | 포트폴리오, 독서감상문 영어능력인정평가 Professionalism 에세이 |
지식, 태도 | 자기성찰, 자기주도학습 | 포트폴리오 | 태도 | 자기성찰, 자기주도학습 | 포트폴리오 |
태도
|
|
향상 정도 평가 |
지식 | 핵심CP 향상도평가 | ||||||||
술기 | 술기 향상도평가 | |||||||||
태도 | 포트폴리오, 봉사활동 | |||||||||
시기역량 평가
|
- 기초의학종합평가(보고서)
- 과학적 사고와 추론 능력 평가
- 의학연구접근 방법탐구보고서(발표)
- Professionalism essay
- 독서감상문
- 포트폴리오
- 봉사활동
- 영어능력인정평가
|
- 기초의학종합평가(시험)
- CPX
- Oral test
- 학생연구계획서/보고서
- 포트폴리오
- 봉사활동
|
- 졸업시험
: 필기-5개대학공동모의고사 및 임상의학종합평가, MEQ
: 실기-CPX/OSCE - 진료환자로그 - 대면진료증례보고서 - 학생연구보고서 - 포트폴리오
- 봉사활동
|
졸업역량 | 시기역량 (Phase1) |
세부역량 | 구체적 학습 성과 |
---|---|---|---|
E1. 의학적 기본 지식의 임상 응용 | P1-1. 인간과 의학을 탐구하기 위한 학문적 기초 다지기 | 1-1-1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평가 |
|
1-1-1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평가 |
|
||
E2. 정확한 진단과 치료 | P1-2. 과학적, 비판적 사고 | 1-2-1 질문 및 탐색하기 |
|
1-2-2 정보수집하기 |
|
||
1-2-3 합리적 가설설정 |
|
||
E3. 문제 해결 능력 | P1-3. 합리적 추론 | 1-3-1 과학적 근거를 기본으로 한 귀납적 추론 |
|
1-3-2 스스로 문제해결에 도달 |
|
||
E4. 과학적 사고 및 연구 능력 | P1-4.과학적 근거 탐색 | 1-4-1 근거탐색 |
|
E5. 의사 소통 능력 | P1-5. 공감, 배려하는 마음, 표현능력 | 1-5-1 기본 의사소통 |
|
1-5-2 팀워크배양 |
|
||
1-5-3 글쓰기 |
|
||
E6. 윤리적 행동 | P1-6. 기본 철학 및 윤리 함양 | 1-6-1 윤리적 민감성/ 윤리문제의 발견 |
|
1-6-2 안전 행동 |
|
||
E7. 사회공동체적 책임감 | P1-7. 공동체/동아리 활동 및 사회봉사 | 1-7-1 공동체/동아리 활동 |
|
1-7-2 봉사의 실천 |
|
||
E8. 자기계발 및 평생학습 | P1-8. 자기성찰, 자기주도학습, 영어능력 | 1-8-1 자기성찰 |
|
1-8-2 자기주도 학습, 협력학습 |
|
||
1-8-3 영어능력 |
|
||
8 domains | 18 divisions | 44 detailed outcomes |
졸업역량 | 시기역량 (Phase2) |
세부역량 | 구체적 학습 성과 |
---|---|---|---|
E1. 의학적 기본 지식의 임상 응용 | P2-1. 임상표현의 병태생리 이해 및 개념틀 작성 | 2-1-1 기본적인 진료 관련 과학지식의 습득 |
|
2-1-2 임상표현에 대한 개념틀 작성 |
|
||
E2. 정확한 진단과 치료 | P2-2. 병력청취, 신체진찰, 기본 술기 수행 | 2-2-1 병력청취 시행 |
|
2-2-2 신체진찰 수행 |
|
||
2-2-3 기본검사의 원리 이해 |
|
||
2-2-4 기본술기 시행 |
|
||
2-2-5 적절한 치료 |
|
||
E3. 문제 해결 능력 | P2-3. 기본 진단 추론, 의학적 결정 | 2-3-1 기본 임상추론 |
|
2-3-2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
|
||
2-4-1 근거중심진료(Evidence-based practice)의 수행 |
|
||
E4. 과학적 사고 및 연구 능력 | P2-4. 임상 상황에 대한 과학적 의문 제기 | 2-4-1. 가설 설정 |
|
E5. 의사 소통 능력 | P2-5. 표준화 환자와 의사소통 | 2-5-1 기본 의사소통 |
|
2-5-2 진단 및 치료과정 설명 |
|
||
2-5-3 의무기록 작성 |
|
||
E6. 윤리적 행동 | P2-6. 임상 상황에서의 윤리문제 발견 | 2-6-1 윤리적 민감성/ 윤리문제의 발견 |
|
2-6-2 환자안전 행동 |
|
||
E7. 사회공동체적 책임감 | P2-7. 협력학습 및 사회봉사 | 2-7-1 동료와의 협력 |
|
E8. 자기계발 및 평생학습 | P2-8. 자기성찰, 자기주도학습 | 2-8-1 자기계발 |
|
2-8-2 자기주도 학습 |
|
||
8 domains | 19 divisions | 41 detailed outcomes |
졸업역량 | 시기역량 (Phase2) |
세부역량 | 구체적 학습 성과 |
---|---|---|---|
E1. 의학적 기본 지식의 임상 응용 | P3-1. 임상표현 개념틀의 확장과 응용 | 3-1-1 기초의학, 메카니즘, 질병과정의 이해 |
|
3-1-2 의학의 정신심리적 이해 |
|
||
E2. 정확한 진단과 치료 | P3-2. 감별진단과 치료 | 2-2-1 병력청취 시행 |
|
3-2-2 신체진찰 수행 |
|
||
3-2-3 임상검사 지시 및 해석 |
|
||
3-2-4 기본술기 수행 |
|
||
3-2-5 응급상황에서의 대처 |
|
||
3-2-6 적절한 치료 |
|
||
E3. 문제 해결 능력 | P3-3. 진단 및 치료 과정의 문제해결 | 3-3-1 기본 임상추론 |
|
3-3-2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
|
||
3-3-3 근거중심진료(Evidence-based practice)의 수행 |
|
||
3-3-4 불확실성(uncertainty)에 대한 진료 접근 |
|
||
3-3-5 진단 및 치료에서의 의사결정 |
|
||
E4. 과학적 사고 및 연구 능력 | P3-4. 제기된 의문에 대한 연구 설계 | 3-4-1 의학연구 및 지식창조 |
|
E5. 의사 소통 능력 | P3-5. 환자 및 동료와 의사소통 | 3-5-1 기본 의사소통 |
|
3-5-2 진단 및 치료과정 설명 |
|
||
3-5-3 의무기록 작성 |
|
||
3-5-4 나쁜 소식 전하기 |
|
||
E6. 윤리적 행동 | P3-6. 환자 진료시 윤리적 행동 | 3-6-1 환자 권리 이해 |
|
3-6-2 윤리적 민감성/ 윤리문제의 발견 |
|
||
3-6-3 환자 동의/환자 비밀보호 |
|
||
3-6-4 환자안전 행동 |
|
||
E7. 사회공동체적 책임감 | P3-7. 질병 예방 및 보건의료환경 개선 활동 참여 | 3-7-1 동료와의 협력 |
|
3-7-2 질병예방과 건강증진 활동 |
|
||
3-7-3 사회적 책임을 감당하는 리더십 |
|
||
E8. 자기계발 및 평생학습 | P3-8. 자기성찰, 자기주도학습 | 3-8-1 지속적 자기계발 및 시간관리 |
|
3-8-2 평생학습의 수행 |
|
||
8 domains | 26 divisions | 64 detailed outcom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