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ICT 전공

교육목표

  • 수질, 대기, 폐기물을 포함하는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문제를 진단하고 원인을 파악하며 대안을 수립하기 위해 환경공학적인 기술을 효율적으로 적용한다. 또한, 첨단 ICT 기술을 융합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SW)와 하드웨어(HW)를 균형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력의 배양

인재상

  • 지구와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심과 열정이 있는 학생
  •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력과 리더십을 갖춘 학생
  • 개인과 국가 그리고 지구의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한 환경공학 기술의 개발 및 발전에 열정이 있는 학생

교육과정소개

  • 환경공학 이론과 컴퓨터공학 핵심 교과목의 단계별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 환경공학: 수자원 및 수질관리, 대기오염기상 및 모델, 수질관리공학 및 설계, 수질오염모델링, 환경시스템공학 등
    • 컴퓨터공학: JAVA프로그래밍기초, 운영체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모바일프로그래밍, 웹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공학 등
    • 융합과목: SW종합설계 프로젝트, 환경공학종합설계, 환경전산응용공학 및 실습, 에너지 및 기후변화모델링 등 복수전공 39학점, 부전공 24학점 이수

교과목 로드맵

교과목 로드맵

세부 교과목 로드맵

교과목 로드맵

교과목 구성

순번

과목명

학점

구분

수강시기

교육내용

1

JAVA 프로그래밍기초

3

전공기초

2-1

JAVA 프로그래밍의 기초적인 내용에 대해 학습

2

JAVA 프로그래밍기초

3

전공기초

2-2

JAVA 프로그래밍의 기초적인 내용에 대해 학습

3

수자원 및 수질관리

3

전공핵심

2-2

수자원 순환 원리 및 유역대상 SW 활용 기술

4

기상및대기분산모델

3

전공핵심

2-2

컴퓨터를 이용한 환경공학적 문제의 해석

5

공학프로그램기초

3

전공기초

2-2

CAD 를 활용하여 환경/에너지 설비를 3차원 형상으로 구축하는 실습. 2D CAD로 부터 3차원 형상을 구축하는 방법과 3D CAD 기초 학습

6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3

전공핵심

3-1

기본적인 자료구조의 개념과 종류를 이해

7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3

전공핵심

3-2

기본적인 자료구조의 개념과 종류를 이해

8

전산열유체기초

3

전공기초

3-1

열전달 메카니즘 현상 고찰과 전산열유체 기본 개념 확립 

9

수질관리공학및설계

3

전공핵심

3-1

공식 DB를 활용한 수질자료의 수집과 해석 방법 학습,

자동 및 수동 모니터링의 시스템의 이해 및 현장 수질관리 방법과의 연계 학습

10

데이터분석과프로그래밍

3

전공핵심

3-1

데이터 분석을 위한 Python 프로그래밍 기초와 활용법을 이해하고 데이터 핸들링(data handling)에 관한 실무적 처리 능력을 향상

11

기계학습과 딥러닝

3

전공핵심

3-2

빅데이터분석에 필요한 기계학습의 원리와 딥러닝 모델에 대해 학습함

12

전과정평가

3

전공핵심

3-2

물질흐름분석과 전과정평가(LCA)의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강의로서 제품이나 폐기물의 전과정평가 사례를 소개하여 전과정 평가의 이해와 실무를 강화

13

수질오염모델링

3

전공핵심

3-2

수체 내에서의 오염물질의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

14

데이터베이스

3

전공핵심

3-2

DB에 대한 이해를 통해 DB 운용 및 응용프로그램 개발 능력 배양

15

운영체제

3

전공핵심

3-2

일반적 운영체제의 역할을 이해하고 Linux 운영체제 내부 구조와 각 기능을 실습

16

기계학습및설계

3

전공핵심

3-2

수질 예측 및 등급 분류를 위한 대표적인 기계학습 알고리즘 이론과 함께 Python 기반의 프로그래밍 처리 방식을 학습

17

환경시스템공학

3

전공심화

4-1

환경관리를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관리 기술

18

환경공학종합설계

3

전공심화

4-1, 2

상용 CFD Tool 사용 방법 습득 및 결과 분석 능력

19

SW 종합설계 프로젝트

3

전공심화

4-1

소프트웨어공학적 프로세스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함

20

SW 종합설계 프로젝트

3

전공심화

4-2

소프트웨어공학적 프로세스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함

21

웹프로그래밍

3

전공핵심

4-1

리눅스를 활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주요 기능들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

22

모바일프로그래밍

3

전공핵심

4-1

모바일 SW 플랫폼과 개발 환경에 대한 개괄적 학습 및 안드로이드 앱 개발 실습

23

환경전산응용설계1

3

전공심화

4-1

환경공학 Special Topic 선택 실습 지하수침전조대기확산실내공기오염 등 

24

산업인공지능및실습1

3

전공심화

4-1

물산업을 위한 산업인공지능 이론 및 실제 산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모델 개발 실습

25

소프트웨어공학

3

전공심화

4-2

다양한 SW공학과정들을 학습

26

환경수치해석및실습

3

전공심화

4-2

상용 CFD Tool 사용 방법 습득 및 결과 분석 능력

27

환경전산응용설계2

3

전공심화

4-2

환경공학 Special Topic 선택 실습 지하수침전조대기확산실내공기오염 등 

28

산업인공지능및실습2

3

전공심화

4-2

ChatGPT와 같은 LLM을 활용하여 리포트 작성챗봇 개발예술 창작로봇 제어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실습

졸업요건

  • 학위명 : 공학사 / 전공표기 : 환경ICT 전공
  • 주관(참여)학과 : 환경공학과(컴퓨터공학과)
  • 복수전공 졸업이수 학점 : 39학점 이상
  • 부전공 졸업이수 학점 : 24학점 이상
  • 기타 졸업요건 : 학과 내규에 따름(학과사무실 문의)

졸업 후 진로

  • 하폐수처리, 정수처리 등 각종 수처리 시설의 운영·관리 시스템 활용 분야
  • 각종 점오염물질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 분야
  • 각종 비점오염물질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장치·시설 운영 분야
  • 수질·대기오염 모델링 및 의사결정시스템 구축 분야
  • 수질오염물질, 대기오염물질, 폐기물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각종 ICT 기기 및 SW 활용 분야

주관학과

  • 환경공학과(Tel:042-821-6671)

홈페이지

연계전공 신청 및 졸업에 관한 세부사항은 주관학과를 통해 안내받으시기 바랍니다.